본문 바로가기

NURSE/수술실에서

[코로나]수술실 관리-①로드맵(이전 준비 단계)

이제는 조금 둔해진 코로나 영향이지만, 

초기만 해도 매번 수술 가이드라인이 바뀔 정도로 변화무쌍했었습니다.

회사에서도, 여러 번 지침이 바뀌면서 저도 여전히 들어갈 때마다 찾아보긴 하지만,

최근의 교육자료들을 정리하고 실무적으로 아쉬웠던 점을 생각해보았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도 기본적으로는

미국 수술간호사회(AORN)의 COVID-19 환자 수술을 위한 workflow를 따르고 있습니다.

<Perioperative Care of the COVID-19 patient: COVID19 Process workflow>

참고하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0년 4월, 수술 임시 취소 권고 이후, 선택적 수술 재개를 위한 지침이 내려졌었고 

20년 8월, 필수 수술 재개, 계속을 위한 지침이 내려졌습니다.

 

로드맵

1. 필수 수술을 계속하기 위한 주요 지역 협력

: 매일 코로나19 관련 수요를 예측하여 안전한 치료를 위한 인적, 물적 자원이 있는지 고려하고

적절한 수의 ICU병상, 일반 병상, 개인보호장비, 코로나19 테스트 및 소모품, 인공호흡기, 직원

이 있는 지를 확인합니다

→재난 상황에 대비하여 국가적으로 인공호흡기나 post care를 위한 장비들의 개수를 파악하고

위에서 아래로의 지시 전달 체계가 이미 형성되어 있긴 했지만, SAS와 MERS 이후에도

항상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형식으로 될 수밖에 없는 게, 비용의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2. 공급망

: 주요 장비 및 소모품 조달, 배포를 위한 협력이 중요합니다.

 

3. 병원 시설 내 코로나 검사

: CDC 지침에 따라 환자 및 직원 검사를 하고

PCR positive 환자, 환자의 의료진, 검진 대상의 의료진, 검진 대상에 대해 대응하는 방법,

응급 및 필수 수술에 대한 프로토콜의 개발 필요

 

4. 개인 보호 장비(PPE)

: 적절한 PPE 및 수술용품이 없는 경우 비 응급 필수 수술 금지

직원 교육, 보관 방침, PPE 확장 사용 또는 재사용 정책 개발

→이에 대한 사항으로, PPE의 착용방법과 폐기 방법에 대한 전 의료진의 교육이 필요했음.

우선순위로는 응급 수술 중 빈도가 잦은 

GY의 C-sec, NS의 Burr hole, EVD insertion, GS의 explo-lapa(주로 perforation)

TS의 dissection, AAA 등에 참여하는 의료진의 교육이 필수적임.

게다가 보관 및 공간을 제한하는 것이 수술실의 기존 공간 활용 또한 이미 포화인 관계로

어려움이 많았음.

 

5. 수술 케이스 우선순위 및 계획

:위원회를 구성하여  수술 우선순위 지정을 위한 전략 개발

우선순위 고려사항

-이전에 취소/연기된 경우

-객관적 우선순위

-전문 분야(암, 장기 이식, 심장, 외상)

-주간 수술 시간 할당 정책

-절차별 칠수 의료 전문가 및 기기 담당자 확인

-수술실의 단계적 개발을 위한 전략

  →개방 목표(%) 확인, 외래/보행 환자 우선 그다음이 입원, 

-수술 시간 가용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평일 시간 연장)

-수술 증가에 관련된 문제

 

6. 코로나 19 관련 수술 치료 5단계 고려사항

-1단계: 수술 전

  • 평가 지침: 마취과 주도
  • 환자 건강 상태 재평가 시기- 30일 이내 병력 및 신체검사
  • 노약자, 코로나 19 경험자는 의사와 사전 논의
  • 급성기 후 치료를 위한 입원 필요성 평가 및 시설 지정

-2단계: 수술 직전

  • 코로나19 관련 수술 연기 기간 평가 지침
  • 코로나19 관련 간호, 마취, 수술 체크리스트 수정해서 사정

-3단계: 수술 중

  • 마취 전, 수술 전 타임아웃 수정 필요성 사정
  • 삽관 및 발관 절차에 참여할 직원 선택
  • PPE 사용 가이드라인

-4단계: 수술 후

  • 표준화된 프로토콜 준수
  • 확장된 병상을 포함한 ICU 병상 수

-5단계: 퇴원 후

  • 급성기 후 치료 시설 가용성
  • 관련 시설의 코로나 19 관련 안전
  • 이상적으로는 요양시설보다는 자택 귀가 권장

7. 자료 수집 및 관리

:관련 데이터, 리소스, 검사 및 기타 임상 정보를 바탕으로 정책 및 절차 재평가

관련 수치: 검사, 확진자, 입원 환자 및 ICU 병상 가용성, 삽관/ 수술 사례, 신규 사례, 사망,

의료진 확진자, 위치, 추적, 격리 방침

 

8. COVID 관련 안전 및 위험 완화

: 지역 사회 및 국가 권고사항을 충족하는 비 제한 구역의 직원, 환자, 환자 방문자를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 방침 구현

& 마스크 사용 요구, 손 소독제 구비, 체온 확인&방문자 제한

 

9. 기타 코로나 19 관련 문제

- 연수생 및 학생을 포함한 의료 종사자의 복지

; 근무시간, 외상 후 스트레스, 탈진, 자살 위험

- 환자와의 의사소통

- 해당 케이스를 스케쥴링 하는 과정

-환자를 위한 시설 및 수술 절차의 안전

-수술 전 검사 과정: PCR 양성, 음성인 경우와 환경 청소 환경

-침습적 시술 전 모든 영역에 대한 근거 기반의 완전한 무균